이제 다음달이면 2008년 코스타 여름수양회의 등록이 시작된다. 매년 이곳저곳을 다니면서 코스타를 홍보하다 보면, “고지론을 주장하는 코스타에는 참가하기 싫다”는 반응을 접하곤 한다. 작 년에는 코스타에 강사로 참여했던 어떤 분이 자신의 교회 홈페이지에 코스타 후기를 쓰면서 고지론의 근원지인 코스타에서 그에 반하는 메세지를 전한 것에 대한 감회를 마치 적지에 아군 깃발을 꽂고 온 것처럼 감격스럽게 적어 올리기도 했다. 이러한 일들을 겪을 때마다 나는 크게 두 가지 생각이 든다.
(1) "아, 이 사람 참 공부 안하는구나. 코스타에서 고지론을 이야기했던 것 (그리고 그 폐해를 주장하기까지 했던 것)이 언제적 이야기인데… 그 이후의 흐름을 전혀 접하지 않는 사람이거나, 아예 "코스타=고지론"의 개념도 어디선가 대충 흘려들은 정도가 아닐까"
(2) "이제 고지론은 커녕 그에 대한 비판도 더 이상 회자되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정말 질기게 따라다니는 꼬리표구나. 정말 고지론은 코스타의 주홍글씨인 걸까"
고지론은 잘못된 성경 해석인가?
1990년대 초반까지만 해도 미국의 유학생들은 선진학문을 배워서 조국의 발전에 기여할 수 있는 기대와 의무를 지고 있었다. 고지론은 그러한 시대적 상황 속에서 당시 유학생들에게 적용될 수 있는 하나의 이론 (a theory)이었다. 하지만 그 이후에 수많은 비판이 제기된 것처럼, 고지론은 그것의 implementation 차원에서 우리들의 죄성과 결합하여 커다란 취약점과 폐해를 지니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러한 비판이 홍수를 이룬 1990년대 후반 이후로는 이제는 아무도 – 심지어는 고지론을 최초로 주장했던 그 목사님도 – 더 이상 고지론을 중심으로 신학을 전개해 나가지 않는다.
고지론은 성경 해석의 법칙(law)이 아니라 말 그대로 론(theory)이다. 이러한 적용범위와 한계, 그리고 시대적인 배경을 고려한다면, 고지론은 그 현실적인 한계들에도 불구하고 성경적인 근거가 있는 이론이다. 또한, 고지론이 주장되던 초기와는 달리, 이제는 더이상 우리 그리스도인 청년들이 그 위험성을 모른 채 무비판적으로 고지론을 수용하지 않게 되었으니만큼, 이제는 이 고지론에 대해 무작정 비판만 하는 일은 그 의의도, 효과도 불분명하다.
고지론, 코스타의 주홍글씨인가?
솔직히, 두 귀를 막고 시대의 흐름과 교계의 움직임에 관심 없이 그저 코스타를 고지론이라는 제목으로 덧입혀 비판하는 사람들과의 대화는 여간 어려운 것이 아니다. 그 실체가 있는지 여부도 확인하지 않고 그저 비판 자체에 목소리를 높임으로써 자신의 순수성에 대한 인식을 강화하려는 움직임은 사실 역사 속에서 그다지 새로울 것도 없다. 탈냉전시대가 열리고 공산주의가 세계적이로 실패한 운동임이 증명되고 몰락한지 한참이 지난 지금에도 “반공주의”로 목소리를 높이는 것이 자유민주주의를 수호하는 것으로 굳게 믿는 사람들처럼…
나는 코스타가 이러한 대중들에게 설명/해명을 제공하는 일에 노력하되, “코스타=고지론”이라는 낙인을 주홍글씨로 가지고 있을 필요는 없다고 생각한다. 고지론은 이미 성경적/신학적/경험적으로 충분한 평가가 이루어졌으며, 코스타는 이 고지론의 위험성과 폐해를 누구 못지 않게 많이 강조하며 지적해 왔다. 그렇다면, 이제 코스타는 눈을 들어 조금 더 미래를 바라봐야 하지 않을까.
The Show Must Go On; 코스타, 그래도 계속 이슈를 던져라.
고지론은, 적어도 그 시대에는, 일정부분 긍정적인 영향을 끼치며 시대를 앞서가는 화두를 던졌다. 내가 생각하는 문제점은 코스타가 1990년대 초반에 고지론이 주장되는 통로로 사용된 것이 아니라, 그 이후의 이슈를 선점하지 못하고 이 시대에 화두를 던지지 못해온 것이다.
고지론은 코스타의 중심세력인 청년/학생들로부터 발의된 움직임이 아니라, 코스타 여름수양회에 강사로 오셨던 어느 목사님에 의해서 주장된 이론이다. 그 당시에 코스타는 강사 중심, 집회 중심의 여름 수양회였으나, 2000년대 이후로 코스타는 강사에 의존하는 수양회가 아닌, 청년/학생들의 자발적인 움직임과 생각들이 운동(movement)으로 나타나는 색깔을 갖게 되었다.
따라서 이제 코스타는 그 책임과 소명을 더 절감해야 한다. 인터넷 문화의 발달과 함께 우후죽순격으로 생겨난 “반(反, Anti-) OO주의”식의 대안 없는 비판이 아니라, 진정 앞날을 내다보고 시대를 앞서가는 이슈를 던지고 선점하는 역할이 그 어느 때보다도 코스타에게 요구되고 있다.
만약 코스타가 현대 복음주의의 잘못된 흐름 한 가지를 지적하는 데에 집착한다면, 거의 20년이 지난 지금까지 “반-고지론”을 주장하며 positioning을 하고 있는 무리들과 다를 바가 없게 된다. 또한 만약 시대를 읽기를 거부하며 “예수 잘 믿어라”라는 원론적인 목소리만 높인다면, 그 또한 복음주의 학생운동으로서의 역할의 큰 부분을 외면하고 있다는 비판을 받아 마땅할 것이다.
이제 얼마 후면 코스타는 2009년의 주제를 정하게 된다. 복음주의 학생운동의 100년을 가늠할 수 있는 좋은 주제가 나오면 더할 나위 없이 좋을 것이다. 하지만 그것이 안된다면, 1990년대의 고지론처럼, 비록 그 생명은 짧고 단점은 많더라도 적어도 몇 년 앞을 내다보고 이슈를 선점할 수 있는 화두라도 나오기를 기도한다.
코스타여, 고지론이라도 좋으니 이슈를 던져라!